2024년 운송용 조종사 항공법규 완벽 정리 (1)

항공법규

ㆍ대한민국 항공법의 근간은? [항공안전법 제 1조] – 항공기가 안전하게 항행하기 위한 방법, 항공시설을 효율적으로 설치 및 관리, 항공운송사업의 질서 확립, 항공의 발전과 공공복지의 증진 ※ 항공안전법 제 1조 (시행 2023. 10. 19) – 이 법은 ‘국제민간항공협약’ 및 같은 협약의 부속서에서 채택된 표준과 권고가 되는 방식에 따라 항공기, 경량항공기 또는 초경량비행장치의 안전하고 효율적인 항행을 위한 방법과 … Read more

운송용 ATPL 항공법규 취약세목

취약세목

항공법규 취약세목 001.법의 목적 및 용어의 정의 002.항행안전시설, 공항시설 003.항공등화, 비행규칙, 착륙대 및 주변장애물제한 004.국제항공기구(ICAO) 005.국제민간항공협약 006.국제항공법의 법적기본구조 007.국제항공의 질서와 항공자유화 008.항공범죄 009.국제항공운송협정 및 항공의 자유 등 011.항공기 등록 021.자격증명한정 및 시험 022.응시자격, 비행경력증명, 비행시간의 산정, 신체검사증명 및 자격증명 취소 031.공역의 구분·관리, 무선설비, 신호(빛총) 등 033.주류등, 전자기기 사용제한, 요격, 사고보고, 안전의무 및 자율보고 등 034.최저비행고도, … Read more

2024년 운송용 조종사 ATPL 구술 (3)

운송용 조종사 ATPL 구술 (3) – Minimum Fuel의 정의 및 선포 기준 특정 공항에 착륙하기로 결심한 상태에서 현재의 ATC Clearance의 변동이 있을 경우 Operational Flight Plan에 계획된 Final Reserve Fuel 미만으로 착륙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Minimum Fuel이라고 합니다. PIC는 연료 오차 등을 대비하여 착륙 시 예상 잔여 연료량이 Final Reserve Fuel의 130%일 때 Minimum … Read more

2024년 운송용 조종사 ATPL 구술 (2)

ATPL

운송용 조종사 ATPL 구술 (2) – 항공 자유협정이란? 각 국가가 국가 영공에서 완전하고 배타적인 주권을 보유한다고 인정하고, 한 국가가 외국의 상업용 항공기의 운항권을 허용하는 것은 하나의 특권을 부여하는 것이며 운항권을 허용 받은 외국 항공사의 입장에서는 전면적 금지로부터 예외적 자유권을 얻은 것과 같은데 이 자유권을 ‘항공의 자유’, ‘항공자유협정’이라고 합니다. ICAO는 1~9까지 자유를 지정했고 우리나라는 제 1의 … Read more

2024년 운송용 조종사 ATPL 구술 (1)

운송용 조종사

– 사업용 조종사가 할 수 있는 일에 추가로 운송용 조종사가 뭘 할 수 있죠? 항공운송사업 목적을 위해 사용하는 항공기를 조종하는 행위 가능 (ATPL) 보수를 받고 무상운항을 하는 항공기를 조종하는 행위 (CPL) 기장 외의 조종사로써 항공운송사업에 사용하는 항공기를 조종하는 행위 (CPL) 항공기사용사업에 사용하는 항공기를 조종하는 행위 (CPL) 항공운송사업에 사용하는 항공기 중 1인 조종사가 필요한 항공기를 조종하는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