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운송용 조종사 ATPL 구술 (7)

운송용 조종사 ATPL 구술 (7)

– Transponder Code

▪ VFR: 10,000ft 이하 1200, 10,000ft 이상에서는 1400SET
▪ IFR: 21XX(FL240 이하), 11XX(FL240 이상)
▪ 3100: Physical Emergency
▪ 7500: Hi-Jack
▪ 7700: Emergency
▪ Radio 송수신 불능: 7700 1분, 7600 15분
▪ ATC 지시나 지역공중항법 협약이 없는 경우 Mode A Code 2000 SET 후 Transponder 작동

기내감압시 절차 수행은?

Memory Item -EMER DESCENT를 수행합니다. (A320F; Crew Mask First and Seat belt Sign On)

김포 32R 접근 중 Curfew 걸리려고 하는데 전방기와 간격이 3마일 이내가 되었다. 이럴 땐 어떻게 할것인지?

관제의 허가가 있고 그 날의 기상이 괜찮다면 Visual 32L로 내리는 것도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 IFR Plan File 유효시간은?

IFR 30분, VFR 1시간

– Line up 이후에 ECAM이 떴을 때 조치사항은?

간단한 ECAM의 경우 ECAM Procedure 완료, Sequence가 뒤로 밀릴 수는 있지만 Request Vacate Runway 후 FCOM Procedure 확인 후 MEL 적용해야 하는 상황이 있으면 MEL 적용하고 Performance에 영향이 있는 Limitation이 있는지 이번 비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확인하고 OMC, MCC와 연락해서 Go or No Go를 결정합니다.

Critical engine

다발 엔진 항공기에서, 엔진 고장 시 항공기 성능 유지나 조종에 가장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엔진을 말합니다. Jet의 경우 풍상쪽 Engine이 Critical Engine입니다.

Feeder Route란?

A route depicted on instrument approach procedure charts to designate routes for aircraft to proceed from the en route structure to the initial approach fix (IAF).

– Balanced V1

– Balanced Rwy 개념 & clear way와 stop way는 포함되는가
– RWY declared distance
– STOPWAY도 LDA에 이용될 수 있나?
– LDA, ASDA, TORA, TODA 약자 및 정의 설명, DISPLACE marking , Stop way
– Stopway & Clearway

◇ 이륙성능, 착륙성능과 활주로 [국토교통부 표준교재 비행이론]

○ TORA(Take-off Run Available, 유효 이륙 활주거리)
▪ 항공기가 이륙할 때 지상활주에 필요한 활주로 길이로서 활주로 길이와 같거나 짧다. TORA는 활주로 시작(또는 Displaced Threshold의 시작지점)부터 활주로 끝까지의 거리이며 이륙활주는 TORA를 초과해서는 안된다.

○ TODA(Take-off Distance Available, 유효 이륙 거리)
▪ TODA = TORA + Clear way(개방구역)로서 활주로에 개방구역이 설치되어 있으면 유효 이륙거리가 길어지게 되어 보다 큰 중량으로 이륙이 가능하다.

○ Clear way (개방구역)
▪ 활주로 끝 부분에 이어져 있는 장애물이 없는 평탄한 구역. 공항당국의 관리 하에 있으며 활주로 중심선과 일치하고 폭은 500ft 이상이며 상승구배 1.25%인 표면 위에 장애물이 없어야 한다. 개방구역은 가속진행거리로 사용 가능하고 V2가 확보될 때 까지의 거리를 말하며 그 길이는 TORA의 1/2를 넘지 않아야 한다.

○ ASDA(Accelerate Stop Distance Available, 가속정지 가용 거리)
▪ ASDA = TORA + Stop way로서 항공기가 이륙을 포기하는 경우에 항공기를 정지시키는 데 적합하다고 결정된 거리이다.

○ Stop way (정지로)
▪ 이륙을 포기한 항공기를 감속시키는 데 사용되고 정지로의 포장강도는 이륙을 포기하여 정지로에 진입할 경우 항공기에 구조적인 손상을 주지 않아야 하며 정지로의 중심선은 활주로 중심선 연장에 있고 활주로 폭 이상이어야 한다.

○ LDA(Landing Distance Available 착륙 가용 거리)
▪ 착륙과 착륙활주에 적합한 활주로의 길이를 말함. Threshold에서부터 시작하나 장애물을 고려한 Approach Path에 따라서 Threshold 위치가 Displaced 될 수 있다.

○ Balanced Field Length: V1 가속거리와 V1에서 항공기 정지거리가 같다.

○ Balanced Runway: ASDA = TODA

운송용 조종사
Runway Length

◇ Balanced V1 [조종사 표준교재 비행이론]

가속 진행거리와 가속 정지거리가 같게 되는 V1을 Balanced V1이라고 하며 이때 소요되는 활주로 길이를 Balanced Field Length라고 한다.
운송용 항공기의 이륙 성능속도에서 VMCG는 V1 보다 낮아야 한다. V1에서 문제가 발생하면 이륙을 중단해야 하며 이 속도 이상에서 엔진에 문제가 발생하면 이륙을 위한 활주는 계속되어야 한다.

 ▪ Low V1: V1을 Balanced V1 보다 작게 선정, 가속정지거리보다 가속진행거리가 길어짐
 ▪ High V1: V1을 Balanced V1 보다 크게 선택, 가속정지거리가 가속진행거리보다 길어짐
 ▪ Mid V1: Balanced V1. 주어진 활주로 길이에 Balanced V1 선정 시 이륙중량 증가 효과가 있음.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Balanced V1을 사용하는 것이 보편적임.

○ Balanced V1을 산정하는 이유

▪ 정상이륙거리의 115%, 엔진 1개 고장 시 완전히 정지하기까지의 거리(ASD)와 엔진 1개 고장 시 35ft를 V2로 통과하기까지의 거리(AGD) 중 가장 긴 거리를 이륙 거리로 선택
 ⇨ Stopway나 Clearway가 있다면 ASD와 AGD 계산시 길이가 늘어나는 효과가 있다.

▪ Field Length Limited Weight: 위에서 언급된 이륙 거리를 충족하기 위해서 어느 정도에서 무게를 제한해야 할지 고려해야 함. 활주로가 짧으면 짧을수록 이 무게가 감소

▪ 결국 ASD와 AGD가 같아지는 V1(Balanced V1)을 구하면 활주로 길이를 최대한 짧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임.

– 시단 THRESHOLD 앞에 노란 갈매기 모양인 구역은 이륙, 착륙 중 무엇이 불가? 둘 다 불가하면 무슨 용도로 쓰는 건지?

Pre-Threshold Area Marking이라고 하며 항공기 사용에 적당하지 않으며 활주로의 방향을 나타냅니다.

Pre-Threshold Area Marking

– Displaced threshold에 ^^^^^^의 뜻은?

Temporary Displaced Threshold

Temporary Displaced Threshold

The portion of runway behind a displaced threshold is available for takeoffs in either direction and landings from the opposite direction.

◇ 활주로/유도로 관련 각종 용어

○ LAHSO (Land And Hold Short Operation)

 ▪교차 활주로, 교차 유도로 또는 활주로상의 어떤 지정된 지점에서의 ‘착륙 후 잠깐 대기’

 → 가용 착륙거리 내에서 정지할 수 있을지를 기장 (최종 권한/책임)이 판단하여 이 인가를 받아들일 수 있음. 기상 최저치는 운고 1,000FT, 시정 3SM

○ HS (Hot Spot)

 ▪ 역사적으로나 잠재적으로 충돌 또는 활주로 침범의 위험이 있는 조종사/운전사에 의한 높은 주의가 필요한 공항 이동지역 내의 위치

○ EMAS (Engineered Materials Arresting System)

 ▪ 항공기 Landing Gear에 감속을 더하기 위해 항공기 무게 아래에서 부서지도록 설계된 Runway Overrun에 위치한 High Energy 흡수 물질. Max 15cm

○ HST (High Speed Taxiway/Turn-off) = Long Radius Exit

 ▪ Runway 중앙에서 Taxiway 중앙까지 고속 (60kt까지)으로 이동할 수 있는 항공기의 경로. Lighting이나 Marking이 제공되고, 긴 반경으로 설계된 Taxiway로 활주로 점유 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설계됨.

○ Rapid Exit Taxiway (ICAO)

 ▪ 착륙 항공기가 활주로를 점유하고 있는 시간을 줄이기 위해 고속에서 활주로를 개방할 수 있도록 설계되고 적은 각도로 활주로와 연결된 유도로. 고속탈출유도로의 활주로 교차 각도는 25°에서 45° 사이로 하여야 하며 30°를 권장 각도로 함.

※ Rapid Exit Taxiway Indicator Light: RVR 350m 미만 시 사용하는 RWY에 필요에 따라 설치가 가능함.

○ Taxi Speed – Boeing 사 참조
Boeing Taxi Speed
운송용 조종사

– ICAO Holding Speed Table [Airway Manual General]

▷ Categories A ~ E
LevelNormal ConditionTurbulence Condition
~ 14,000ft230KTS280KTS
170KTS (CAT A, B)170KTS (CAT A, B)
14,000ft ~ 20,000ft240KTS280KTS or 0.8Mach whichever is less
20,000ft ~ 34,000ft265KTS
34,000ft ~0.83 Mach0.83 Mach

– Holding 시 몇 분 전까지 지시하고 속도조절은?

Clearance는 5분 전, 속도조절은 3분전

Holding 시 EFC (Expect Further Clearance) 발부 목적은?

Radio Failure 대비해서 EFC 맞춰서 Inbound하기 위해 발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