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항공기상 – 기상 약어
– IR, SWR는 무슨 의미인가?
IR: Ice on Runway
SWR: Strength to weight ratio
– TAF 발표는 몇 번? 시간은?
4번에 국내공항(00, 06, 12, 18), 국제공항(05, 11, 18, 23)
– TAF 전문 주시고는 4번에 161212가 뭐냐?
16시 12시부터 17시 12시까지 유효
– NOSIG란?
No Significant Change, 앞으로 2시간동안 일기변화가 없을 것으로 예상되고 착륙예보에 사용
– ATIS (Automatic Terminal Information Service)
▪ 터미널 지역 녹음된 비관제 정보를 계속해서 방송하는 것. 관제사 업무효율 증가, 주파수 혼잡 감소
▪ 일반적으로 ATIS 위치에서 20~60NM, 최대 고도 25,000ft의 업무 범위
▪ Departure ATIS의 경우 업무 범위는 5NM과 100ft AGL을 초과할 수 없다.
▪ 포함사항: 공항/시설명, 음성문자 코드, 기상 정보(풍향, 속도, 가시성, 시정 정애, 현재 날씨)
※ 운고가 5,000ft, 시정이 5SM 이상이면 운고/하늘 상태 시정 및 시정 장애 생략 가능
▪ Have Number 의미
조종사가 바람, 활주로, 고도계 정보만을 수신했다는 것을 의미
⇨ ATIS를 수신했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 TAF에서 Visibility와 바람의 방향이 생략될 수 있는 조건
Visibility 6SM, Wind 3kts (Wind calm)
– METAR/TAF에 나오는 풍향과 ATIS에 나오는 진북 or 자북?
METAR/TAF는 진북, ATIS는 자북(활주로 자북 방향)
– MIST와 FOG, HAZE의 차이점
▪ MIST (박무, BR)
눈에 보이는 미세한 물방울 또는 얼음 결정체가 공기 중에 부유하는 것. 풍경을 덮는 얇은 회색의 베일을 형성. 안개와 비슷하지만 동일하게 시정을 차단하지 않으며 안개처럼 습하고 차갑게 느껴지지는 않음. Mist는 안개와 연무의 중간으로 간주. 수평 시정이 1,000 ~ 5,000m로 감소되며 상대 습도는 80% 이상 된다. 시정이 1,000m 이상, 5,000m 이하일 때 보고
▪ FOG (안개)
지면을 기반으로 한눈에 보이는 미세한 물방울 덩어리. 수평 시정을 5/8SM(1Km) 미만으로 감소. 이슬비와 다르게 땅으로 떨어지지 않으며 구름과 다르게 51ft 이하 지면에 기초한다. 온도와 이슬점이 같거나 거의 동일할 때 형성된다. 온도와 이슬점 차이가 2℃ 이상이면 잘 발생하지 않는다.
▪ HAZE (연무)
육안으로 볼 수 없는 극히 작은 입자들이 대기 속에 존재하는 것. 짧은 빛의 파장을 산란시켜 시정 감소. 단순한 회색 흐림은 Mist와 구분되며 연무 입자는 상대습도가 증가함에 따라 입자의 크기가 증가하여 시정을 크게 감소.
안정된 공기에서 발생, 수직으로 15,000ft까지 확장 가능. 연무 층은 그 위에 명확한 Ceiling을 가지고 있다.
– CAVOK (Ceiling and visibility OK)
시정 10Km 이상, 운항상 중요한 구름이 없고, 강수, 대기물‧먼지‧뇌전 등 중요 기상 현상이 없을 때
※ NSC(Nil Significant Cloud): 운항 상 주요한 구름이 없고 수직 시정에 제한이 없으나 ‘CAVOK’ 약어 사용이 부적절할 경우 사용
– 시정 9999의 의미
시정은 우세 시정을 기준으로 관측‧통보되며 시정이 10Km 이상인 경우 CAVOK를 사용할 조건일 때를 제외하고 9999로 표시
– VRB
○ 관측 METAR VRB
▪관측하기 바로 전 10분 동안에 풍향의 변동이 60° 이상 180° 미만이고 평균 풍속이 3kt 미만일 경우 “VRB”를 사용하여 보고해야 한다. 예) VRB02KT
▪ 풍향의 변동이 180° 이상이고 평균풍향의 관측이 불가능할 경우, 가령 천둥번개가 공항을 통과할 때는 바람이 변하는 양극단 방향에 관계없이 변동(VRB)으로 표기해야 한다. 예) VRB03KT
○ 예보 TAF VRB
▪ VRB는 평균풍속이 3KT(1.5m/s) 미만일 때 또는 평균풍속이 3KT(1.5m/s) 이상이지 만 우세한 풍향을 예상할 수 없는 경우에 사용한다. 바람이 1KT(0.5m/s) 미만일 것으로 예상되면 풍향·풍속은 00000(calm)으로 표현한다.
– Wind Calm은?
ICAO 1kt, FAA 3kt이하
– 공항예보에서 사용하는 변화군의 변화 지시자 [국토교통부 표준교재 항공기상]
사용 | 변화기간 | 비고 | |
BECMG | 특정기간 내 불특정 시간에 예상되는 규칙적/불규칙적 기상변화 표현 | 주로 2시간을 초과할 수 없고, 어떠한 경우에도 4시간 초과 금지 | 중대하게 변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기상 요소만 표시, 구름군은 전체 표시 |
TEMPO | 특정기간 내 어느 시간에 예상되는 일시적 기상변화 표현 | 지속시간은 각각 변화시간이 1시간 미만, 총 변화 지속시간의 합이 특정 기간의 1/2 미만 | 각각 변화 시간이 1시간 이상 지속 or 변화 지속시간의 합이 1/2 이상 될 것으로 예상되면 BECMG |
FM | 일련의 우세한 기상 현상이 뚜렷하게 변하여 다른 기상현상으로 변화할 것으로 예상 | 주로 1시간 이하인 경우 변화 시작 시간만 표시 | FM 이후에는 모든 예보 요소 표현, FM 이전에 주어진 모든 현상은 FM 이후 표현된 현상으로 대체 |
PROB | 기상 현상의 변화에 대한 확신이 높지 않지만, 변화가 예상되는 기상 요소가 항공기 운항에 중대한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될 때 | 예보 요소 발생 확률은 30%, 40%만 사용. PROB는 BECMG 또는 FM을 수식할 수 없음. | 30% 미만일 때는 운항상 중요하지 않으므로 생략, 50% 이상이고 변화의 확신이 크면 BECMG, TEMPO, FM 사용 |
– 정시관측(METAR) 및 특별관측 해설 [항공정보매뉴얼 제8호]
○ 구성요소
① 보고형식
② ICAO 비행장 식별부호
③ 보고 일자와 시간
④ 보조 수식용어
⑤ 풍향/풍속
⑥ 시정
⑦ 활주로 가시거리(RVR)
⑧ 기상 현황
⑨ 하늘 상태
⑩ 온도와 노점온도
⑪ 기압
⑫ 보충정보
⑬ 경향예보
○ METAR 보고 예문 및 해설








– TAF란 무엇인가? 유효시간은?
항공기상청이 제공하는 공항예보, 유효시간은 1시간 이후부터 30시간
○ 공항예보 예문



○ TAF 내용 중 보충정보란에 표기되는 주요 용어
① 착빙 관련 내용(6개의 숫자로 구성) 예) 620102
6: 착빙예보 지시어
2: 착빙의 형태 – 구름 속의 약한 착빙
010: 착빙의 최저 고도 – 1,000ft
2: 착빙의 두께 – 2,000ft
② 난류 관련 내용(6개의 숫자로 구성) 예) 530052
5: 난류 예보 지시어
3: 난류형 강도 – 보통 강도의 CAT 자주 발생
005: 난류층의 최저 고도 – 500ft
2: 난류층의 두께 – 2,000ft
③ 저고도 난류(LLWS) 예보 관련 내용 예) WS015/30045KT
1,500ft에 저고도 난류가 발생/300degree 45KT
RKSI 160024 321010KT 8000 BKN040 WS015/14040KT
④ 온도 예보 최저 최고 관련 내용 예) TM 10/06Z: 최고 온도 10℃/06Z
TN 02/21Z: 최저 온도 02℃/21Z
– Windshear는 어디서 나오나?
GPWS, PWS
– Windshear 이륙시 조작방법
(Memory Item) No CONF Change (Even landing gear)
– Windshear와 Microburst차이
Windshear는 짧은 시간에 풍향 또는 풍속이 급격히 변화하는 현상을 말하고 배풍의 급격한 증가 또는 감소를 초래하여 항공기의 비정상적인 고도 변화, 실속을 유발하는 기상 현상을 말합니다.
10kt 이상의 Airspeed 변화, 500fpm, 5° 이상의 Pitch 변화, 10% 이상의 Power 변화가 나타납니다.
Microburst는 대류 활동과 연관되어 나타나는 Windshear인데 뇌우뿐만 아니라 천둥과 번개를 동반하지 않는 소규모의 대류운과 관련되어 나타나는 단순한 형태의 강한 Down Draft 기상 현상입니다.
가시적 강수를 동반하기도 하지만 하강기류가 눈에 보이지 않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항공기 사고를 유발할 수도 있습니다.
Microburst는 하강기류가 지상에 처음 도달한 후 5분 내외의 시간에 강화되며 수평 규모는 1~3km정도 두께는 1,000ft, 지속시간은 5~15분 정도인데 2~4분 정도에 가장 강한 Windshear가 나타납니다. 최대 Downdraft는 6,000fpm, 최대 90kt의 Windshear를 동반합니다.
– PIREP이란? (관련 보고해야 될 구체적인사항)
◇ 조종사 기상 보고(PIREP) [조종사 표준교재 항공기상]
종류 | 포함사항 |
긴급 | 토네이도, 깔때기 구름 또는 용오름, 심한 난기류, 심한 착빙, 우박, 2000ft 이내 LLWS, 화산재 구름 |
정기 | 위치, 경로구간, 시간, 고도/비행고도, 항공기 유형, 하늘상태, 비행시정과 기상, 기온, 바람방향과 속도, 난기류, 착빙 |
– SIGMET과 AIRMET의 차이는?
저고도, 고고도의 차이가 아닌 관련 기상현상의 차이
– AIRMET, SIGMET, Convective SIGMET의 각각의 정의
◇ AIRMET
발표기관 | AIRMET 정보 기상현상 | 발표시각 | 유효시간 |
항공기상청 (예보과) | 1. 지상풍 평균풍속 30kt(15m/s) 초과 2. 지상시정 5,000m 미만 3. 천둥번개 4. 산악차폐 5. 1,000ft 미만(300m)의 운저고도를 가진 BKN 또는 OVC의 구름구역 6. CB 또는 TCU 7. 보통 착빙 8. 보통 난류9. 보통 산악파 | 기상현상 발생 예상 시각으로부터 4시간 전 | 4시간 |
▪ 저고도 비행 지원용 공역예보에 포함되지는 않았으나 저고도 비행의 안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특정의 항로상 기상현상이 발생하거나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발표해야 한다.
▪ 해당 공역에서 해당 기상현상이 더 이상 발생하지 않거나 발생이 예상되지 않을 때 취소한다.
▪ AIRMET 정보 발표는 발생예상 시각 4시간 이전에 발표하며, 유효시간은 4시간을 초과하지 않는다.
▪ 일련번호는 0001 UTC 이후에 갱신한다.
▪ AIRMET 정보 전문의 형식 및 예시
구 분 | 내 용 | |||
식별군 | 전문형식 | ① CCCC ② AIRMET [n]nn ③ VALID YYG1G1g1g1/YYG2G2g1g1 ④ C1C1C1C1- | ||
① | 지명약어 | ICAO에 의해 규정된 네자리 부호로 항공 고정국의 지명 | ||
② | 보고형태 일련번호 | AIRMET 발표번호 | ||
③ | 유효시간 | UTC 시간을 적용한다. | ||
④ | 기상감시소 | ICAO 지명약어와 본문을 구별하기 위한 연자부호 | ||
작성 예 | RKRR AIRMET A05 VALID 221215/221600 RKSI | |||
해석 예 | 22일 0000UTC 이후 항공기상청(기상감시소 : RKSI)가 인천비행정 보구역(항공관제소 : RKRR)에 대하여 5번째로 발표하는 AIRMET 전문으로 22일 1215UTC에서 22일 1600UTC까지 유효함 | |||
관측 또는 예측 표현 | 관측 ‘OBS’, 예측 ‘FCST’ 로 표현 | |||
전문형식 | OBS[AT nnnnZ] 또는 FCST | |||
작성 예 | OBS AT 1210Z | |||
해석 예 | 12시 10분에 관측됨 | |||
위치 | 위도 또는 경도, 국제적으로 잘 알려진 위치로 표시한다. | |||
전문형식 | WI Nnn[nn] Ennn[nn] – Nnn[nn] Ennn[nn] | |||
작성 예 | WI N3400 E12625 – N3400 E12800 – N3310 E12800 – N3230 E12730 – N3230 E12650 – N3100 E12600 – N3230 E12600 – N3400 E12625 | |||
해석 | N34°00′ E126°25′ – N34°00′ E128°00′ – N33°10′ E128°00′ – N32°30′ E127°30′ – N32°30′ E126°50′ – N31°00′ E126°00′ – N32°30′ E126°00′사이에 위치 | |||
이동 및 강도 | 이동 또는 예상이동, 정체 정보를 16방위와 kt 또는 ㎞/h의 속도단위중의 하나로 표시하며 기상현상의 예상되는 강도 변화를 표현 | |||
강도변화를 표시하는 용어의 의미 1. INTSF(Intensify) 강해지는, 강화되어지는 2. WKN(Weaken) 약해지는 3. NC(No Change 변화 없는 | ||||
전문형식 | MOV NW[nnKT] 또는 STNR/INTSF | |||
작성 예 | MOV E 20KT WKN | |||
해석 예 | 20KT의 속도로 동쪽으로 이동 중이며 강도는 약화되고 있음 | |||
AIRMET 취소 | RKRR AIRMET B03 VALID 101345/101600 RKSI- RKRR INCHEON FIR CNL AIRMET B02 101200/101600 | |||
– 훈련 또는 테스트 전문일 경우 ‘TEST’ 또는 ‘EXER’ 약어를 포함한다. – 관측되는 정보는 OBS로 표현하며 예측되는 정보는 ‘FCST’를 사용한다. |
▪ AIRMET 정보 기상현상과 그에 따른 약어 표현
현상 | 약어 | 설 명 | 표현 예 |
지상풍속 Surface Wind Speed | SFC WIND | 평균풍속이 30kt(15m/s) 이상 예상되는 지역에 대하 여 사용단위와 함께 표현 | SFC WIND |
지상시정 Surface Visibility | SFC VIS | 5,000m 미만의 시정장애를 야기하는 하나의 기상현 상 또는 복합현상 중 하나를 표현 | SFC VIS 0800 FG |
천둥번개 Thunderstorm | TS | 우박을 동반하지 않고, 현상에 의해 영향을 받거나 받을 것으로 예상하는 구역에 대해, 최대 50% 미만의 공간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될 때 ISOL(isolated)를 사 용하며, 다음과 같이 표현 | ISOL TS |
우박을 동반하지 않고, 현상에 의해 영향을 받거나 받을 것으로 예상하는 구역에 대해, 최대 50~75% 이 상의 공간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될 때 OCNL(occasional)을 사용하며, 다음과 같이 표현 | OCNL TS | ||
우박을 동반하고, 현상에 의해 영향을 받거나 받을 것으로 예상하는 구역에 대해, 최대 50% 미만의 공간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될 때 ISOL(isolated)를 사용하며, 다음과 같이 표현 | ISOL TSGR | ||
우박을 동반하고, 현상에 의해 영향을 받거나 받을 것으로 예상하는 구역의 최대 50~75% 이상의 공간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될 때 OCNL(occasional)을 사용하며, 다음과 같이 표현 | OCNL TSGR | ||
산악차폐 | MT | 산악지대가 연무 또는 연기에 의해 차폐되거나 어둠으로 쉽게 볼 수 없을 때 OBSC(obscured)를 사용하며, 다음과 같이 표현 | MT OBSC |
구름 | CLD | 지상 위 1,000ft(300m) 미만의 운저고도를 갖는 BKN 또는 OVC의 구름구역을 운저고도, 운정고도 및 단위 와 함께 표현 | BKN CLD 400/3000FT |
적란운 또는 탑상적운은 다음과 같이 표현 | |||
CB TCU | 예상되는 구역에 최대 50% 미만의 공간을 차지할 정도의 적란운 또는 탑상적운이 끼었 거나 낄 것으로 판단될 때는 ISOL(isolated)를 사용하며, 다음과 같이 표현 | ISOL CB (또는 TCU) | |
예상되는 구역에 최대 50~75%이상의 공간을 차지할 정도의 적란운 또는 탑상적운이 끼었거나 낄 것으 로 판단될 때는 OCNL(occasional)를 사용하며, 다음 과 같이 표현 | OCNL CB ( 또는 TCU) | ||
예상되는 구역에 최대 75%이상의 공간을 차지할 정도의 적란운 또는 탑상적운이 끼었거나 낄 것으로 판단될 때는 FRQ(frequent)를 사용하며, 다음과 같이 표현 | FRQ CB (또는 TCU) | ||
착빙 Icing | ICE | 보통 착빙(대류운 속 착빙 제외) | MOD ICE |
난류 Turbulence | TURB | 강한 지상풍과 관련된 저층 난류, 두루마리 흐름, 또는 구름 안 또는 구름 안에서 발생하지 않은 난류(CAT). 난류는 대류운과 연관되어 사용되지 않아야 함. (보통 난류: EDR 최댓값이 0.20 이상이고 0.45 미만일 때) | MOD TURB |
산악파 Mountain Wave | MTW | 보통 산악파를 표현 – 보통: 1.75∼3.0 m/s (350∼600 ft/min)의 하강기류를 동반 그리고/또는 보통 난류가 관측 또는 예상될 때 | MOD MTW |
– 천둥번개 또는 열대저기압(태풍)에 관한 것이면 그 현상과 연관된 난류와 착빙에 대한 언급이 포함되어서는 안 된다. – 천둥번개 SIGMET 정보를 발표한 경우 천둥번개 AIRMET 정보는 SIGMET 정보로 대체한다. |
◇ SIGMET [조종사 표준교재 항공기상]
○ SIGMET 정보
▪ 항공기 안전 운항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상 현상과 대기 중 다른 현상의 시‧공간적인 변화에 대해 발생하거나 발생이 예상될 때 국제적으로 합의된 약어를 사용하여 서술
▪ 발표 시각: 기상 현상 발생 예상 시각부터 4시간 이내 발표. 다만 화산재와 태풍에 대한 SIGMET은 사전에 경고하기 위해 발생 예상 시간으로부터 12시간 이내 발표
▪ 유효 시간: 4시간을 초과하지 않아야 하며 화산재 구름과 태풍과 같은 특별한 경우 6시간을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 Convective SIGMET
Convective SIGMET은 Severe Turbulence, Severe icing, and Low-level wind shear가 예상되는 대류성활동이 있는 경우 예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