ㆍ항공국(Aeronautical Station)이란 무엇을 말하는가?
항공 이동업무를 위한 지상국
※ 항공국 (Aeronautical Station): 항공 이동통신업무를 하는 육상국을 말하며 경우에 따라 해상의 산박이나 플랫폼 (위성 등) 등에 위치할 수도 있다.
ㆍ항공교통 (Air Traffic)이란?
항공교통이란 비행중이거나 또는 비행장 내의 기동지역에서 운항 중인 모든 항공기를 말한다.
ㆍ항공고정업무 (AFS)란?
항공고정업무 (Aeronautical Fixed Service): 항행의 안전 및 질서가 있고 효율적이며 경제적인 항공 업무를 위하여 제공되는 특정된 정 지점 간의 토인 업무를 말한다. (ex. 지대지)
ㆍ항공이동업무란?
항공이동업무 (Aeronautical Mobile Service): 항공국 – 항공기국 사이 또는 항공기국 상호간의 이동 업무를 말하며 비상 위치지시용 무선표지국도 지정된 조난 및 비상 주파수로 참여할 수 있다. (ex. 지대공, 공대공)
ㆍ항공지상국에서 항공기국으로 또는 항공기국에서 항공기국 간 통신은?
항공이동통신업무
ㆍ기동지역이란?
기동지역 (Maneuvering Area): 항공기의 이착륙 및 지상유도(Taxiing)을 위해 사용하는 비행장의 일부분으로써 계류장을 제외한 지역을 말한다.
※ Movement Area: The part of an aerodrome to be used for take-off, landing and taxiing of aircraft consisting of the maneuvering area and the apron.
ㆍ계류장이란?
계류장 (Apron): 비행장 내에서 여격의 승하기, 화물과 우편물의 적재와 적하, 급유, 주기, 제방빙 또는 정비 등의 목적으로 항공기가 이용할 수 있도록 설정한 구역을 말한다.
ㆍ항공교통업무 (ATS: Air Traffic Services)의 목적은?
가. 비행 안전과 효율적인 비행에 필요한 정보 및 조언 제공 ◀
나. 항공기 간 충돌방지
다. 기동지역 내 항공기와 장애물 충돌 방지
라. 항공 교통의 촉진 및 질서 유지
※ ATS: 비행정보 업무, 경보업무, 항공교통 조언업무, 항공교통관제업무 (지역관제업무, 접근관제업무, 비행장관제업무) 등 여러가지 의미를 가지는 일반적인 용어를 말한다.
ㆍ수색 및 구조를 필요로 하는 항공기에 관한 사항을 관계부서에 통보하고 필요 시 관계부서를 돕는 업무는?
경보업무
ㆍ항공교통업무가 아닌 것은?
수색구조업무
ㆍ항공교통관제의 종류가 아닌 것은?
가. 항공정보업무 ◀
나. 지역관제업무
다. 접근관제업무
라. 비행장관제업무
ㆍ안전하고 효울적인 비행에 유용한 조언(충고) 및 정보를 제공하는 업무는?
비행정보업무 (Flight Information Service)
ㆍ항공교통관제 기관이 아닌 것은?
가. 비행장 ◀
나. 지역관제센터
다. 접근관제센터
라. 관제탑
ㆍFSS관련하여 공항지역에 진입할 때 대력 ___ 마일 전에서 적절한 CTAF를 청취하는가?
10NM
ㆍATC 관제 이외의 조언 사항이 아닌 것은? (항공안전법 시행규칙 241조)
가. 대체 공항의 관제 운영 시간 ◀
나. 목적공항과 교체공항의 기상정보
다. 해상 저고도를 비행하는 항공기에게 같은 경로의 선박 호출부호화 방향 등
ㆍ모든 조종사가 IFR로 비행해야 하는 공역은?
A공역
관제 공역 | A | 모든 항공기가 계기 비행을 해야 하는 공역 20,000ft ~ 60,000ft |
B | 계기비행 및 시계비행을 하는 항공기가 비행 가능하고, 모든 항공기에 분리를 포함한 항공교통관제업무가 제공되는 공역 | |
C | 모든 항공기에 항공교통관제업무가 제공되나, 시계비행을 하는 항공기 간에는 교통정보만 제공되는 지역 | |
D | 모든 항공기에 항공교통관제업무가 제공되나, 계기비행을 하는 항공기와 시계비행을 하는 항공기 및 시계비행을 하는 항공기 간에는 교통정보만 제공되는 공역 | |
E | 계기비행을 하는 항공기에 항공교통관제업무가 제공되고, 시계비행을 하는 항공기에 교통정보가 제공되는 공역 | |
비관제 공역 | F | 계기비행을 하는 항공기에 비행정보업무와 항공교통조언업무가 제공되고, 시계비행항공기에 비행정보업무가 제공되는 공역 |
G | 모든 항공기에 비행정보업무만 제공되는 공역 |
ㆍLASHO에 설명 중 틀린 것은?
조종사는 거부할 권한이 없다. (거부할 수 있음)
ㆍ관제권 내 비행장 기준으로 확장 가능한 관제 구역은?
가. 3NM
나. 5NM ◀
다. 10NM
라. 15NM
ㆍ금지, 제한공역 등의 종류에 대해서 설명 중 틀린 것을 고르는 문제
제한공역 표기는 영문자 L로 시작한다. (Restricted, R로 시작한다.)
ㆍ비행금지구역의 정의?
가. 안전, 국방상, 그 밖의 이유로 항공기의 비행을 금지하는 공역 ◀
나. 항공사격, 대공사역 등으로 인한 위험으로부터 항공기의 안전을 보호하거나 그 밖의 이유로 비행허가를 받지 않은 비행기의 비행을 제한하는 공역 [비행제한구역]
다. 대규모 조종사의 훈련이나 비정상 형태의 활공활동이 수행되는 공역 [경계구역 A]
라. 항공기의 비행 시 항공기 또는 지상시설물에 대한 위험이 예상되는 공역 [위험구역 D]
ㆍ주의공역에 속하지 않는 것은?
가. 비행제한공역 ◀
나. 군 작전공역
다. 민간 항공기 훈련공역
라. 위험공역
ㆍ관제구의 높이는?
가. 100m
나. 200m ◀
다. 700m
라. 750m
※ 공역의 사용목적에 따른 구분
구분 | 내용 | |
관 제 공 역 | 관제권 | 공역으로 비행정보구역 내 B, C 또는 D등급 공역 중에서 시계 및 계기비행을 하는 항공기에 대하여 항공교통관제업무를 제공하는 공역 |
관제구 | 공역(항공로 및 접근관제구역을 포함한다.)으로서 비행정보구역 내의 A, B, C, D 및 E등급 공역에서 시계 및 계기비행을 하는 항공기에 대하여 항공교통관제업무를 제공하는 공역 | |
비행장 교통구역 | 공역 외의 공역으로서 비행정보구역 내의 D등급에서 시계비행을 하는 항공기 간에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공역 | |
비 관 제 공 역 | 조언구역 | 항공교통조언업무가 제공되도록 지정된 비관제공역 |
정보구역 | 비행정보업무가 제공되도록 지정된 공역 | |
통 제 공 역 | 비행금지구역 | 안전, 국방상, 그 밖의 이유로 항공기의 비행을 금지하는 공역 |
비행제한구역 | 항공사격, 대공사격 등으로 인한 위험으로 부터 항공기를 안전하게 보호하거나 그 밖의 이유로 비행허가를 받지 않은 항공기의 비행을 제한하는 공역 | |
초경량비행장치 제한구역 | 초경량비행장치의 비행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초경량비행장치의 비행활동에 대한 제한이 필요한 공역 | |
주 의 공 역 | 훈련구역 | 민간항공기의 훈련공역으로서 계기비행항공기로부터 분리를 유지할 필요가 있는 공역 |
군작전구역 | 군사작전을 위하여 설정된 공역으로서 계기비행항공기로부터 분리를 유지할 필요가 있는 공역 | |
위험구역 | 항공기의 비행 시 항공기 또는 지상시설물에 대한 위험이 예상되는 공역 | |
경계구역 | 대규모 조종사의 훈련이나 비정상 형태의 항공활동이 수행되는 공역 |
ㆍ착륙 방향의 반대쪽으로 착륙활주로와 평행인 비행경로는?
Downwind Leg
ㆍ관제탑이 운영되는 공항 절차
– 조종사는 별도의 허가가 없는 한 Class B, C, D에서 비행 중 관제탑과의 상호무선교신을 유지
– 최초 무선호출은 공항으로부터 약 15마일 밖에서 이루어져야한다.
– 관제탑에서 별도의 허가 또는 지시가 없는 한 착륙 접근하는 고정익 항공기는 공항 좌측으로 선회
– 착륙하려는 헬기 조종사는 고정익 항공기 경로의 흐름을 피해야 한다.
ㆍSSALR로 전환이 가능한 ALS는?
ALSF2
ㆍ복잡한 공항에서 자동으로 방송하여 관제사의 업무를 줄이는 것은?
ATIS
ㆍATIS제공 정보 중 운고는 얼마 이상 시 생략이 가능한가?
5000ft (시정은 5SM)
ㆍATIS설명 중 틀린 것은?
가. Automatic Terminal Information Service
나. 기압수정치, 사용 Runway 정보 제공
다. 운고 5,000ft, 시정 5km 이상은 생략 가능하다 (5SM = 8km) ◀
라. 통달거리는 Arrival, 60NM and 25,000ft, Departure은 5NM, 100ft이다. (AIM)
마. 단일공항 정보만 제공된다.
ㆍATIS는 녹음된 정보를 계속하여 방송하는데 다음 중 그 정보 대상은?
가. Radar에 포착된 비행기의 조종사에게 위험한 지상장애물에 대한 조언
나. 필요치 않은 정보를 듣기 위한 주파수
다. 복잡한 공항에서 관제되고 있지 않는 사항
라. 1000ft이하 Ceiling과 3 Mile이하의 시정 ◀
※ ATIS는 수치가 변동하지 않아도 새로운 공식 기상 정보를 접수하면 새로 녹음, 제동상태가 떨어졌거나 활주로, 계기 접근, NOTAM/PIREP 변동이 있을 때도 새로 녹음, 가능한 30초 이내로 녹음한다. (VOR 주파수 사용)
ㆍLocalizer & Glide slope 전체 폭은?
– Localizer CDI의 전체폭은 5° (한쪽 경로 Indication Full scale 2.5°)
– Glide Slope 수평면으로부터 상부 3° (Glidepath Beam 폭은 1.4°)
– 발사각도는 Runway Threshold에서 폭 700ft
ㆍLocalizer 범위
– 10NM까지 양쪽 35°, 18NM까지 양쪽 10°
– 18NM에서 높이 1,000 ~ 3,500ft AGL
ㆍILS의 Localizer Identifier 중 2개의 시그널을 보내고 DME, Marker Beacon을 대신할 수 있는 것은?
Outer Compass Locator
※ FAA에서는 OM 또는 DME 나 Compass Locator로 대체 가능함, MM은 DME로 대체 불가
Compass Locator의 유효거리 15NM
ㆍLocalizer 뒤 두자리를 Identifier 이용하는 것은?
MM or LMM
ㆍ활주로 끝으로부터 약 3,500ft에 위치한 것은?
Middle Marker
구분 | 거리 | 높이 | 색상 | 신호음 |
OM | 4~7NM | 1,400ft | Blue | – – – – |
MM | 3,500ft | 200ft | Amber | ■ – ■ – |
IM | RWY ~ MM | White | ■■■■ | |
BC | White | ■■ ■■ |
ㆍILS Back Course가 있는 공항에 접근 시 Light 색과 신호음
– OM Blue
– MM Amber
– IM White
ㆍOM의 색은?
Blue
ㆍPAR의 Range, Azimuth, Elevation은?
– Range 10NM, Azimuth 20°, Elevation 7°
ㆍVOR ‘L’의 반경은?
40NM
※ Service Volume



ㆍTri Color VASI의 유효거리 및 색은?
– 낮 1/2 ~ 1 NM, 밤 5NM, Amber
– Green – Dark Amber (Slightly Below) – Red
ㆍVASI의 장애물 회피
– 활주로 중심 연장선 좌우 10°, 4NM ~ Threshold
– 식별 거리: 주간 3~5NM, 야간 20NM
ㆍPAPI의 식별 거리는?
– 낮 5NM, 밤 20NM